본문 바로가기
  • 가천(Gachen-佳川)
세덕총람(世德叢覽)

주요인물(主要人物)-13)인물-濬21世-秉敦-秉馨-秉泰-秉吉-必嵒-必巘-秉善21世[22]

by choijooly 2024. 5. 22.

 

8. 주요인물(主要人物)

13)인 물(人物)-[22]

 

ㅇ준(濬 21世) 

호는 국천(菊川)이며 찰방공 최진호의 후이고 최규환(崔奎煥)공의 손이다.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했을 때 대사성 이휘준이 직강(直講)의 벼슬로 사산원에

있으면서천재지변에 대한 사초(辭草)를 구엉(求言)하므로 공이 시폐(時弊)7건을

2000자구로 열거하여 봉주(封奏)하려 하니류상국 후조(柳相國 厚祚)가 보고

"무익할 뿐 아니라 화를 자초하는 일이라"고 저지하므로 노친을 모시는 형편에

부득이 그만 두고 후에 대원군에게 행정의 과오 5조목을 진정하였는데 역시

받아 드려지지 아니하였다. 벼슬은 사헌부 장령(정4품)에 이르렀다.(고성지)

 

ㅇ병돈(秉敦 21世)

자는 대여(大汝)이고 호는 양호재(養浩齋)이다. 일찍이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

에게 수업하였다. 배움과 행실이 돈독하고 자성(資性)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서

소양(素養)을 전함에는 ㅛ우가 극진하고 문필로 종향이 추앙하였으며

용문초고(龍門草稿)가 있다.(향교지)

(주)최병돈(崔秉敦):참봉공 최하의 후이고 구암공 최근홍(崔根洪)의 자

 

ㅇ병형(秉馨 21世)

자는 치경(致敬)이고 호는 죽파(竹坡)이다. 20살이 되기전에 4서6경을 통달하였으며

오산공 최태진(崔台鎭)을 스승으로 모신 후로 같이 기거하며 뜻을 구하다가 어느듯

경전의 내용을 꿰뜷게 되었다. 훌륭한 집안의 좋은 행실을 참고하여 어버이를 효로서

지극히 섬기고 어른들을 공경으로 받들었다. 집안 자질들이나 향리 후생들에 대하여

정성을 다하여 훈도하였다.(세헌록)

(주)최병형(崔秉馨): 해정공 최수강의 후이고 최광길(崔光佶)의 손

 

ㅇ병태(秉泰 21世)

자는 태강(泰綱)이고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을 지냈다.(해평파보)

(주)쵭ㅇ태(崔秉泰):인재공 최현(崔晛)의 후이고 최운표(崔雲杓)공의 손

 

ㅇ병길(秉吉 21世)

자는 우여(佑汝)이고 호는 석하(石下)이다.풍자가 온후하고 지지가 높고

확실하였으며 분노를 경계하며 기욕을 절제하였다. 일가친척을 도우며

향당에 충실하였고 말수는 적었으나 행봉ㅇ은 민첩하였다.

일꾼들을 소중히여기며 행산에 힘썼다.(해평파보)

(주)최병길(崔秉吉):인재공 최현(崔晛)의 후이고 금산공 최긍식(崔肯植)의 자

 

ㅇ필암(必嵒 21世) 

자는 여여윤(汝允)이고 호는 도천(陶川)이다.문학과 행의(行義)로서 문장이

고아(高雅)하고 필한(筆翰)이 정묘하여 일시에 금석(金石)과 같은 글씨를

많이 내어 세인이 추중하였다. (향교지)

(주)최필암(崔必嵒):통덕랑공 최흥호의 후이고 제월당공 최기전(崔起全)의 현손

 

ㅇ필헌(必巘 21世)

자는 인첨(仁瞻)이고 호는 묵와(默窩)이다. 어려서부공(父公)을 잃고 널리

배우지 못하였으나 근검으로 가세를 이루고 편모를 모시면서 동리에 글방을

세우고수백권의 서책을 구입하여 집안의 제군(諸君)들과 마을 수재(秀才)를

취학시켜 면려(勉勵)케 하여, 많은 후학을 성취케 하고 집에서는 법도가 있고

위선(爲先)에 성력(誠力)을 다하였다.(향교지)

(주)최필헌(崔必巘): 통덕랑공 최흥호의 후이고 최광립공(崔光岦公)의 손

 

ㅇ병선(秉善 21世)

일 휘는 봉선(鳳善)이고 자는 의찬(儀贊)이다. 무과에 급제하고 풍의(風儀)가

준걸하였으며 덕초첨사(德浦僉使)가 되었을 때 기근이 들었는데 이를 규휼한

공으로 송덕비가 섰으며 1885년 을유에 어사 이건창(李建昌)이 주천(奏薦)하여

갑산부사(甲山府使)를 지냈다.(세헌록. 족보)

(주)최병선(崔秉善):정언공 최종복(崔宗復)의 후이고 참판공 최치영(崔致永)의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