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천(Gachen-佳川)
世德叢覽(全州崔氏 按廉使公 宗會)

7.비명(碑銘)-2) 제단비-정재공제단비-ㅇ낙헌공이하3세-충순위공-참봉공

by choijooly 2024. 5. 5.

7. 비 명(碑銘) 

 

2) 제단비(祭壇碑) 

ㅇ 자헌대부 형조판서 정재공 제단비명(資憲大夫刑曹判書靜齋公祭壇碑銘)

 

공의 휘(諱)는 득경(得逕)이고 호는 정재(靜齋)다.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생몰 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제단의 비석에는『 조선조 고자헌대부 형조판서 완산 최공(朝鮮朝故資憲大夫刑曹判書完山 崔公) 』

이라 새겨져 있고 그 비명(碑銘)에는『진양(晉陽) 죽곡(竹谷)의 화전산(花田山)에 있는데

그 지방 사람들이 최판서의 무덤이라 부른다 』라고 되어있다.봉분이 평쳥해져 버려서 확실한 것은 없지만

그 산의 제단에 나아가 제사를 지낸것이 오래되었다. 그런데 지금 또 제단에 비석을 세우고자 하여

후손인 숙민(琡民)이 먼 길을 달려와나에게 명(銘)을 부탁했다.

 

숙민(琡民)이 가져온 기록에『 공의 휘는 득경(得逕)이고,본관은 완산이며

문성공(文成公)인 휘(諱)아(阿)의 5세손이다.영락 년간(永樂年間)에조선조에서 벼슬하여

관직은 판서(判書)에 이르렀는데 이력과 행증은 여기 저기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배위는 진양하씨(晉陽河氏)인데 아들 셋을 낳았다.효건(孝虔)은 진사(進士)였고

효량(孝良)은 세조 때 단종 복위(端宗復位)의 난을 평정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들었고

5세손은 계사년(癸巳年 1593) 임진왜란 때의 충신이 었던 모산(茅山) 기필(琦弼)이고,

6세손은병자호란(丙子胡亂 1636) 때의 열사였던 죽당(竹塘) 탁(濯)이다. 막내는 효문(孝文)인데

생원(生員)이고 후손(厚孫)을 낳았는데 진사(進士)이다, 』라고 되어 있다.

 

영락 년간은 우리니라의 세종 때이니 관직을 맡은 사람은 형명한 사람들 뿐이다.공

은 판서를 지냈으니 재주와 덕은 마땅히 칭찬 받았을 것이고, 또 만약 추증되었다면

분명히 기록해서 전할만한 공적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세월이 너무 많이 흘러서

문헌이 대부분 없어져 버렸으니 너무나 안타까울 뿐이다.

나는 기록하기를『 공적이 많으나 주는 것은 적다(行多贈少』 라고 말하겠다.

재덕과 공훈이 후세에 드리워졌으며, 그것은 후손들이 단종복위 난을 평정한 것이라 던지

진주성의 싸움에서 순절한 것 등 옥하(玉河)에서의 여러 일들이 증험할 수 있겠다.

그것은 영지(靈芝) 외 예천(醴泉)처럼 분명히 그 근원이 있었던 것이다.

나는 글 재주가 없지만 감탄을 금치 못하여 받들어 읽어보고 여기에명을 짓는다.

주공(周公)이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면 사구(司寇 주나라때 형벌. 도난등의일을맡은 벼슬)인

소공(蘇公)이 옥사(獄事)를 결정했던 연유를 자세히 몰라서 덮어 두고라도그 후에 봉분하지도 않고

나무도 심지 않고 들 복판에 묻어버린 것을 성인(聖人)이 나와,관을 만들어 장사 지내게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제단에서 제사를 드리는 것은 바로 마음의예이니 높고 높은 산에 저렇게 아름답고

튼튼한 제단을 만들어 놓았네. 통정대부 전 행 승정원 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진성 이만도
(通政大夫前 行 承政院 同副承旨 兼 經筵參贊官 春秋館修撰官 眞城 李晩燾)


ㅇ낙헌공 이하 3세 제단비(樂軒公 以下三世祭壇碑)

산청군 단성면 감영의 뒤 산 기슭에 있다.

1위는 선교량 단성 현감공 최수인(崔水仁 7世) 및 배위 진양정씨 성산이씨,

2위는 최장저공(崔長著公 8世)과 배위 성주이씨,

3위는 최임한공(崔臨漢公 9世)과 배위 김해김씨 이다.

족보에 1위와 2위의 묘는 모두 현의 북쪽 백마산에 잇고 3위의 묘는 그 동쪽

신기촌(新基村) 뒤에 있다고 하였으나 실묘하여 제단을 만들어 위의

선조 3대를 제사지내고 있다.(세헌록)

 

 ㅇ 충순위공 제단비(忠順衛公祭壇碑)

 

 

함안군 가야면 묘사리 서근암(瑞斤岩)에 있다. 공은 전주 최윤재(崔潤才)이며

묘를 실전하여 단을 마련, 세향하고 있다.(세헌록)

(주)최윤재(崔潤才 9世) : 비안 현감공 최수지(崔水智)의 손

 

ㅇ 참봉공 제단비(參奉公祭壇碑)

 

고성군 동해면 외곡리 구절산 아래에 있다. 참봉공 최하(崔河)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공의 묘가 함안의 여항산에 있었으나 실묘하여

단을 모아서 해마다 제사를 올리고 있다.(세헌록)

(주)최하(崔河 10世) : 시조 문성공의 9세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