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부터 “I am(나 입니다).”♥
이솝은 노예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분은 비천했으나 똑똑하고 지혜로웠다.
어린 이솝이 노예 시장에 팔려 나오자
평소 이솝의 지혜를 눈여겨 본
철학자 크잔토스가 그를 샀다고 한다.
그 후 이솝은 크잔토스와 함께 지내며
많은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하루는 주인이 어린 이솝을 불러 말했다.
“목욕탕에 가서 사람이 많은지 보고 오너라.”
목욕탕에는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고 있었다.
그런데 목욕탕을 찾은 사람들이 문 앞에서
“이런 빌어먹을” 이라고 욕설을 하는 것이었다.
원인은 문 앞에 박힌 뾰족한 돌이었다.
사람들이 그 돌에 걸려 넘어질 뻔하자
돌에다 화풀이한 것이었다.하지만 사람들은
말도 알아듣지 못하는 돌에 욕을 퍼부을 뿐,
아무도 그 돌을 치우려 하지 않았다.
이솝은 오랫동안 그 광경을 지켜보았다.
얼마 후 한 남자가 목욕하러 왔다.
그 사람도 돌에 걸려 넘어질 뻔했다.
“웬 돌이 여기 박혀 있지?
사람들이 걸려 넘어지겠군.”
그 남자는 연장을 갖고 와서
그 돌을 뽑아냈다.
그런 후 목욕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솝은 목욕탕 안에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 헤아려보지 않고
그냥 집으로 돌아갔다.
이솝이 주인에게 말했다.
“주인님, 목욕탕 안에는 한 사람밖에 없었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나라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집회와 세미나를 열고 강연도 한다.
중요한 것은
그들의 입이 아니라 행동이다.
어떤 이는 자기가 한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정직과 신뢰를 들먹인다.
식당 종업원이나 힘없는 사람들을 함부로
대하면서 자유와 인권을 외치고, 방종을 걱정한다.
그것은 문 앞에 박힌 돌에 화풀이만 하면서
그것을 치울 생각조차 하지 않는 사람과 같다.
영국의 런던타임스가 유명 작가들에게
‘무엇이 이 세상의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부탁했다.
세상의 수많은 문제와 혼란이
어디에서 비롯 되었는지
한번 생각해 보자는 취지였다.
추리 소설 작가인 G. K. 체스터턴은
이런 글을 써서 신문사에 보냈다고 한다.
짧았지만 가장 강렬한 내용이었다.
“I am (나 입니다).”
왜 세상은 이 모양인가?
왜 남편(아내)은 변하지 않을까?
그 모든 문제의 출발점은
바로 ‘나’이다.
그렇다면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어디에 있는가?
역시 ‘나’이다.
그것을 깊이 깨달은 사람만이
삶의 무대에서 주인공으로
설 자격이 있다.
--<좋은 글> 중에서--
'마음의 비타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생각과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영상글 첨부) (13) | 2023.09.11 |
---|---|
세월이 가는 소리 / 오광수 (영상글 첨부) (22) | 2023.09.09 |
인연(人緣)이란? (영상글 첨부) (12) | 2023.09.08 |
당신에게 보내는 아침편지/안성란 (영상글 첨부) (30) | 2023.09.07 |
곡선(曲線)의 미학(美學 )[영상글 첨부] (15)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