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천(Gachen-佳川)
世德叢覽(全州崔氏 按廉使公 宗會)

5.정재(亭齋)-용호재-우졸재-일신재-일영대-임연정-죽암정-죽은공-첨모대

by choijooly 2024. 5. 2.

호재(龍湖齋)

 

5.정 재(亭 齋)ㅇ 

 

ㅇ용호재(龍湖齋)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가룡포(固城郡東海面龍井里駕龍浦)에 있다.

용호공최문대(龍湖公崔文大)가 구만 세장(世庄)에서 이곳에 터를 잡아

학문을 닦고 공부하던 곳이다. 문손인 최홍락공(崔弘洛公)이 기문(記文)을

지었다.(향교지. 향교습유록)

(주)최문대(崔文大 18世) : 찰방공 최진호의 제3자인 최욱공(崔욱公)의 현손

 

ㅇ우졸재(愚拙齋)

 

우졸재(愚拙齋)  

 

고성군 하일면 학동(固城郡下一面鶴洞)에 있다.의민공 최균(崔均)의 현손인

최형태(崔亨泰)공이 가동(柯洞)에서 이곳에 택지를 정하여 이가한 후 공의

7세손인 최홍순공(崔弘淳公)이 기거하던 당(堂)을 우졸재(愚拙齎)라 하였는데

후손들이 성력(誠力)으로 집을 완공하고 편액을 우졸재(愚拙齎)라 하였다.

(향교지)

(주)최형태(崔亨泰 16世): 통덕랑공 최홍호의 후이고 찰방공 최홍(崔洪)의 손

 

ㅇ 일신재(日新齋)

 

고성군 하이면 사곡리(固城郡下二面沙谷里)에 있다.

농와공(農窩公) 최상억(崔祥嶷)이 후생들의 글을 배우고 익히는 곳으로

창건(創建)했다.(환여승람)

(주)최상억(崔祥嶷 20世) : 통덕랑공 최홍호의 후이고 사호공 최재전

(沙湖公 崔載全)의 증손

 

ㅇ 일영대(日影臺)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 좌이산(左耳山) 아래에 있는데 최규세(崔圭世),최구호

(崔九鎬),최정호(崔禎鎬) 3공이 읊조린 곳이다.(환여승람)

(주)최규세(崔圭世23世):통덕랑공최홍호의 후이고 군산공(君山公)최상겸(崔祥謙)의 증손

(주)최구호(崔九鎬 24世):통덕랑공 최홍호의 후이고 최관공(崔瓘公)의 6세손

(주)최정호(崔禎鎬 24世):통덕랑공 최홍호의 후이고 최후전공(崔垕全公)의 7세손

 

ㅇ 죽암정(竹庵亭)

 

고성군 하이면 사곡리(固城郡下二面沙谷里)에 있다.

처사공 최규영(處士公崔圭榮)이수학하던 곳이다.

(향교 습유록)

 

『 천왕산 아래에 대 움막 지으니 만물이 자연 그대로 태고적 삶이라오.

하우(夏禹)가 터를 닦은 천년 묵은 길지이며 공문(孔門)에서 남긴 책 내가 받아 읽게 되오.

(原韻 : 天王峰下卜斯蘆, 萬事無爲太古如,地闢千年神禹斧,山藏一部長書)』

참찬(參贊) 이병관(李炳觀)이 정기(亭記)를 지었다.

(주)최규영(崔圭榮 23 世):서강공(西岡公) 최상임(崔祥任)의 증손

 

ㅇ 죽은정(竹隱亭)

 

고성군 마암면 삼락(固城郡馬岩面三樂)에 있다.

최세열공(崔世烈公)이 선렬(先烈)을 추모하기 위헤 세웠고 그 기문(記文)은

교하 노재수(交河盧再銖)기 지었다(향고 습유록)

(주)최세열(崔世烈23世):해정공 최수강(崔秀岡)의 후이고 최상금공(崔祥嶔)의 손

 

ㅇ 첨모대(瞻慕臺)

 

고성군 구만면 당산에 있다.시은공 최용호(是隱公崔庸鎬)가 작약산 밑에

정지(淨地)를 골라 나무를 심고 대(臺)를 모으니 이곳은 시은공의 조부와

고비(考妣)의 묘가 일목으로 바라볼수 있는 곳으로서 언제나 조, 부모에

대한 추모의 성을 다하는 곳이다.(시은실기)

(주)최용호(崔庸鎬24世):찰방공 최진호의 후이고 최광억공(崔光億公)의5세손

 

ㅇ임연정(臨淵亭)

 

고성군 하일면 학동(固城郡下一面鶴洞)에 있다.

고성군 하일면 학동(固城郡下一面鶴洞)에 있다.

매사공 최태순(梅史公崔泰淳)이 학문을 닦고 공부하던 곳이다.(환여승람.고성지)

(주)최태순(崔泰淳 23世): 통덕랑공 최홍호의 후이고 최광후공(崔光垕公)의 현손